본문 바로가기

경제적 독립 챌린지/통상 공부

무역확장법 232조

1. 무역 확장법 232조란

1)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경우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법 (출처 : 매일경제)

 

2. 새로 만들어진 법이 아님

1) 1962년 제정 50여 년 동안 실제 적용된 사례가 단 2건에 불과할 정도로 사실상 사문화된 법이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보호무역주의 수단으로 부활

2) 2018년 5월 23일 : 미국은 18년 5월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1962년 232조 조사를 개시

3) 2019년 2월 17일 : 상무부는 조사 보고서를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

* 과정 : 조사 개시(18.5.23) 270일 이내(19.2.17) 조사결과 보고 → 90일 이내 대통령 최종 결정(무역협회, 통상 리포트 미국의 2019년 통상정책 방향 및 시사점 中)

4) 2019년 5월 17일  : 트럼프 대통령 포고문 발표

- 180일간 보류하겠다 

- 조사 중 한미 FTA 등 개정 협상이 있었기 때문

 

자료 : 국제무역통상연구원 iit.kita.net/newtri2/report/iitreporter_view.jsp?sNo=1962&sClassification=4

 

 

3. 미국은 왜 하려고 하는걸까?

1) 한국의 대중국 수출 비중이 약 40%로 높은 수준이어서, 미국이 중국의 첨단기술 추격을 견제한다는 차원에서 232조 조사를 할 가능성이 높음(한국반도체산업협회)

2) 한국자동차산업협회도 미국 행정부의 북미 자유무역협정(NAFTA) 개정 협상에 따른 멕시코산 자동차 수입 상한 설정 등을 고려할 때, 우방인 한국도 무역제재를 적용받을 가능성이 있음(한국자동차산업협회)

자료 : 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111402100132781002&ref=naver

 

미 무역확장 법대로 하면... 한국 수출산업 `족쇄`

[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칼날에 자동차..

www.dt.co.kr

 

 

4. 무역 확장법 내용

1) 자동차에 최대 25% 관세

- 한국이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 대상국에 포함될 경우 25% 자동차 관세는 인건비의 2배 이상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YXO4OKRXV

 

美무역확장법, 韓에 불똥 우려도

미국이 고율의 관세 부과를 무기로 한 보호무역의 타깃을 중국에서 유럽이나 인도, 한국으로 변경할 가능성 역시 배제하기 어려운 만큼 우리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동차에 최대 25% 관세

www.sedaily.com

2)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와 10%의 관세율 부과

- 이에 중국, EU, 캐나다 등이 미국의 232조 조치에 대해 보복관세 부과했고, 관련 조치를 WTO에 제소함

- 이에 미국은 자신들의 관세 부과는 국가 안보를 위한 명분이 있었다고 설명하며 중국, EU, 캐나다 등의 복 관세를 WTO에 다시 제소함(대외경제정책연구원)

자료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www.kiep.go.kr/sub/view.do?bbsId=KiepBaseLine&nttId=201802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시장 현황과 한국의 협력방안: 가나와 우간다를 중심으로

 

이 연구의 목적은 가나와 우간다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모바일 금융시장의 시장구조 및 현황, 관련 정책 등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관련 국가 간의 산업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시사

www.kiep.go.kr

 

 

5. 무역 확장법232조 조치로 분쟁은 없었을까?

1) 중국, EU, 캐나다 등이 미국의 232조 조치에 대해 보복관세 부과했고, 관련 조치를 WTO에 제소함

*WTO 분쟁해결 절차도 (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80)

 

6. 바이든도 무역확장법 지지할까?

< 트럼프 대통령 vs 바이든 후보의 통상정책에 대한 입장 >

     

트럼프

바이든

대중국 정책

일방적 관세 부과,

·중 디커플링으로 압박

동맹국과 협력하여 불공정행위에 대응하고, 인권, 환경 등 이슈를 내세워 압박

301조 조치

일방적 관세 부과 지지

동 조치에 따른 관세 부과에 반대 입장이나, 기존에 부과한 관세 철회 여부는 미정

232조 조치

일방적 관세 부과 지지

동 조치에는 부정적이나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기존 조치는 지속할 것

반덤핑/상계관세 조사

대폭 증가/자체 직권 조사 

지지

FTA

기존 FTA에 대해 비판적,

양자 간 무역협정 추진

신규 무역협정 추진계획 없음,

국내 투자 우선

USMCA

(노동, 환경)

지지

* 미국 중심으로 북미 제조업 재편, 경쟁력 강화 목적

지지

* 민주당이 노동, 환경 기준 강화를 요구해 수정·통과

CPTPP

TPP 탈퇴 후 입장 변화 없음

재협상할 것으로 예상되나

재가입 여부 미정

탄소 조정세

(환경)

반대(파리 기후협약선언(’ 19.11),  ’ 20.11월 탈퇴 절차 종료)

* 환경 관련 규제완화 정책 추진

2025년까지 탄소 조정세 법안 도입(파리 기후협약( 재가입 추진)

* 친환경정책 추진

WTO

WTO 탈퇴 협박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다자통상체제 지지

자료 : Arnold & Porter, “Trading America First for American Leadership in Trade Policy”를 참고하여 저자 작성

자료 : 국제무역통상 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