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철강 관세 부과 고려 이유
1) 자국 내 생산을 제한
- 탄소 배출 억제 : 중국은 세계 최대의 철강 수출국이기 때문에 산업 재편을 통한 생산량 감축을 진행하고 있음.
2) 철강 가격 상승을 억제
- 올해 초 수요 증가로 철강 가격이 급등한 이후 중국이 내수 공급에 집중하는 행보를 보이면서, 경기 회복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글로벌 시장에도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임.
2. 관세 부과
- 10~25%의 관세율이 논의되고 있으며, 열연 코일(hot-rolled coil) 등의 제품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됨.
3. 중국 당국은 탄소 중립 노력의 일환으로 여러 생산 억제책을 시행했지만, 규제 강화 및 공급 부족 우려 속에 상반기 생산량이 급증했음. 이에 따라 철강 가격이 상승하여 제조사들에 대량 생산을 지속할 동기를 부여했고, 제조 및 건설 증가에 따른 수요 증가와도 맞물렸음.
- 원자재 가격을 억제하려는 중국 당국의 다각적 노력이 성공할 초기 징후가 일부 보이지만, 철강 선물 가격은 다시 기록적인 수준으로 높아졌고, 다른 원자재 가격도 인플레이션 압박을 지속적으로 부각시키고 있음. 철강 수출도 5월 조치 이후 30% 이상 급감했다가 6월 20% 이상 상승했음.
중국, 철강 가격 상승 억제 위해 추가 수출 관세 도입 고려-통상뉴스
최신 미국, EU 통상정보 및 뉴스, 브렉시트 동향 업데이트.
www.kita.net
'경제적 독립 챌린지 > 통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들 원자재 수급 애로에 공급 안정화 (0) | 2021.08.09 |
---|---|
물류대란 (0) | 2021.08.06 |
2021년 7월 수출 실적 (0) | 2021.08.02 |
[국제무역사] 무역법규 (0) | 2021.02.23 |
[국제무역사] 무역결제 (0) | 2021.02.23 |